티스토리 뷰

네트워크

NAT

Saranf 2018. 5. 5. 19:52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이란?

네트워크 주소 변환은 패킷(TCP/UDP) 포트 숫자,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입니다.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려되었으며 주로 비공인(사설,local)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하는 땅에서 외부 공인망(public) 과의 통신을 위해서 네트워크 주소를 변환하는 것입니다.

 즉 내부망에서는 사설 IP주소를 사용하여 통신을 하고, 외부망과의 통신시에는 NAT을 거쳐 공인  IP주소로 변환한다는 것 입니다..


NAT을 사용하는 이유는 대게 사설 네트워크에 소간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 이라고 합니다..

아래 그림 참고 

  

출처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ittenjun&logNo=10002405964&parentCategoryNo=&categoryNo=14&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NAT장치 뒤에 있는 클라이언트들은 일반적으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al)또는 관리자에 의한 정적 구성을 통해 개인 IP 주소를 할당 받게 된다. 


외부망과의 통신시 주소변환을 거쳐야 하므로 느려지며, 사용자가 많을수록 속도 저하가 커진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AT  (0) 2018.05.09
SNAT  (0) 2018.05.07
내부ip, 외부ip  (0) 2018.04.24
DNS  (0) 2018.04.23
MYDNS  (0) 2018.04.23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