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사라이 입니다. 웹 엔지니아가 알아야 할 인프라의 후기 작성하기 전에 이 책으로 눈이 넓어 졌다는 이야기를 먼저 하고 싶습니다. 먼저 이 책의 목차를 살펴 볼 텐데요..Chapter 1 웹 서비스에서 인프라의 역할 1.1 웹 서비스 구축에 관련된 인프라 영역 이 책에서 다루는 인프라의 범위 웹 서비스 구축에 관련된 인프라의 기술 요소 인프라 기술의 계층 구조 1.2 인프라의 요건 정의에서 운용까지의 주의점 1.3 인프라 설계 시의 주의점 인프라 설계의 어려움 인프라의 '기능적 요건' 정의의 주의점 인프라의 '비 기능적 요건' 정의의 주의점 인프라의 신뢰성 확보하기 1.4 RAS 검토하기 가동률을 높이는 방법 고장 발생 시의 대응 방법 대규모 재해 시의 대응 방법 Chapter 2 인프라 기술의..
이 글은 "웹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인프라의 기본" 책 을 정리 한 것 입니다. IP주소 해당 포스트 참고 : 내부 ip 외부 ip ip주소에는 "글로벌IP주소(외부IP)" 와 "로컬IP주소(내부IP)" 주소가 있다. 글로벌 IP주소->전 세계적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관리->회사나 가정 등에서 자유롭게 사용 로컬 IP주소 ->10.0.0.0~10.255.255.255 : 매우 큰 규모의 네트워크 용->172.16.0.0 ~ 172.31.255.255 : 중간 규모의 네트워크 용->192.168.0.0 ~ 192.168.255.255 :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용 ->127.0.0.1 ~ 127.255.255.254 : 로컬 루프백 주소 ---> 127.0.0.1 보통 자신의 서버를 가르키는 IP주소로 사용 ..
이 포스팅은 "웹 엔지니어가 알아야 할 인프라의 기본 " 책의 내용을 정리한 책 입니다. 웹 서비스 구축에 관련된 인프라의 기술 요소OS, 서버기기, 스토리지,데이터센터,도메인 취득, DNS, 네트워크 기기, 네트워크 기술, SSL인증서 ->각각의 계층과 규격을 관리하는 단체도 있기 때문에 그 단체에 대해 파악하고 규격을 조정해야 한다. 인프라 기술의 계층 구조 ---- > OSI 7계층 참고 url 인프라의 구축 과정요건 정의 -> 설계 -> 조달 -> 구축 -> 운용 ---->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서비스 개시 시점에 어느 정도는 향후의 확장을 염두해 두고 구성 필요 기능적 요건 vs 비기능적 요건 "1년간 10분 이상 서비스를 정지시키지 않는다" 위 비 기능적 요건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