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트란?파일시스템 구조 내에 있는 일련의 파일들을 사용자나 나용자 그룹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etc/mtab : 현재 마운트 되어져 있는 정보를 담는다.mount/unmount 명령어를 내릴 떼 어떤 옵션도 주지 않으면 이 목록이 표시된다. 파일시스템에 의해서 자동으로 정보가 등록된다.파일시스템이란?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로서 리눅스에서 파티션을 나누고 정리하는데 사용 /etc/fstab : 부팅시에 마운트 할 만한 정보를 담는다. /proc/mounts : proc가상 파일 시스템의 일부/etc/mtab파일은 마운트 옵션등 더욱 자세한 정보를 지니고 있고, /proc/mounts파일은 리눅스 커널이 시스템 상태를 파일 형식으로 나타내서..
useradd -u uid 를 지정 uid : user 마다 할당되는 id 형테로 /etc/passwd 라는 파일에 기록/관리한다.-b 현 위치 아래 사용자 홈 디렉토리 생성 -d 현 위치 아래 사용자 데이터 저장-e 계정 만료일 지정-g 사용자 속할 그룹 (1개) 지정gid : group마다 할당되는 id 형태로 /etc/group라는 파일에 기록 /관리된다.-G 사용자 속할 그룹 (여러개) 지정-h 도움말 보여줌-M 홈 디렉터리 만들지 않음-s 사용자가 기본으로 사용할 쉘 지정 기본은 /bin/bash 이지만 다른 쉘을 지정 할 수도 있다.
리눅스를 왜 쓸까 리눅스가 무엇일까 흔히 쓰는 리눅스는 그냥 리눅스가 아니라 GNU/리눅스 라고 부른다.OS의 한 종류OS 가 무엇인가 => 컴퓨터에 붙어있는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쓰는것... 즉 사용자가 쉽게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 하는것운영체제는 무엇으로 나위어져 잇나?유저단 -> 인터넷 오피스 아파치 nginx서버 BashShell 등 유저가 관여하고 사용커널단 -> 유저단으로부터 들어온 요청을 해석해서 하드웨어를 조작한 뒤 그에 걸맞는 응답을 다시 유저단으로 되돌려줌하드웨어단 -> CPU 그래픽카드 랜카드 등커널은 Kernel.org 다운로드 가능 커널에 유저단을 올려주는 것이 바로 리눅스 배포판배포판이란?리눅스를 커널로 삼고 유저단에 여러가지를 심어 넣는것 apache,tomcat,..
부팅 프로세스구동 프로세스부팅 과정구동 과정 부팅 흐름구동 흐름
안녕하세요 사라이 입니다. 웹 엔지니아가 알아야 할 인프라의 후기 작성하기 전에 이 책으로 눈이 넓어 졌다는 이야기를 먼저 하고 싶습니다. 먼저 이 책의 목차를 살펴 볼 텐데요..Chapter 1 웹 서비스에서 인프라의 역할 1.1 웹 서비스 구축에 관련된 인프라 영역 이 책에서 다루는 인프라의 범위 웹 서비스 구축에 관련된 인프라의 기술 요소 인프라 기술의 계층 구조 1.2 인프라의 요건 정의에서 운용까지의 주의점 1.3 인프라 설계 시의 주의점 인프라 설계의 어려움 인프라의 '기능적 요건' 정의의 주의점 인프라의 '비 기능적 요건' 정의의 주의점 인프라의 신뢰성 확보하기 1.4 RAS 검토하기 가동률을 높이는 방법 고장 발생 시의 대응 방법 대규모 재해 시의 대응 방법 Chapter 2 인프라 기술의..
css 유튜브 즐겨찾기를 정리하고 공신 강성태님의 거인의 어깨에서 소개한 어원 333개 어원맵 링크 : https://gongsin.com/uploads/course_attaches/kangsungtae_voca_2.jpg 영어, 일본어, 웹, 정보처리를 1년 목표로 정리하는것이 좋을것 같다. 영어는 어원과 단어를 외우고 일본어는 가지고있는 책을 읽으며 한자도 정리하고 웹은 외주하면서 틈틈히 이슈를 잘 기록하면서 공부하고 정보처리는 실기, 필기책을 번갈아보면서 정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