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운트란?파일시스템 구조 내에 있는 일련의 파일들을 사용자나 나용자 그룹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다. /etc/mtab : 현재 마운트 되어져 있는 정보를 담는다.mount/unmount 명령어를 내릴 떼 어떤 옵션도 주지 않으면 이 목록이 표시된다. 파일시스템에 의해서 자동으로 정보가 등록된다.파일시스템이란?파일이나 자료를 쉽게 발견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보관 또는 조직하는 체제로서 리눅스에서 파티션을 나누고 정리하는데 사용 /etc/fstab : 부팅시에 마운트 할 만한 정보를 담는다. /proc/mounts : proc가상 파일 시스템의 일부/etc/mtab파일은 마운트 옵션등 더욱 자세한 정보를 지니고 있고, /proc/mounts파일은 리눅스 커널이 시스템 상태를 파일 형식으로 나타내서..
리눅스를 왜 쓸까 리눅스가 무엇일까 흔히 쓰는 리눅스는 그냥 리눅스가 아니라 GNU/리눅스 라고 부른다.OS의 한 종류OS 가 무엇인가 => 컴퓨터에 붙어있는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게 쓰는것... 즉 사용자가 쉽게 편리하게 사용할수 있게 하는것운영체제는 무엇으로 나위어져 잇나?유저단 -> 인터넷 오피스 아파치 nginx서버 BashShell 등 유저가 관여하고 사용커널단 -> 유저단으로부터 들어온 요청을 해석해서 하드웨어를 조작한 뒤 그에 걸맞는 응답을 다시 유저단으로 되돌려줌하드웨어단 -> CPU 그래픽카드 랜카드 등커널은 Kernel.org 다운로드 가능 커널에 유저단을 올려주는 것이 바로 리눅스 배포판배포판이란?리눅스를 커널로 삼고 유저단에 여러가지를 심어 넣는것 apache,tomcat,..
이 글을 ubuntu18.04에 gitlab을 설치해 보는 포스팅 입니다. 참고로만 활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참고 문서 :https://about.gitlab.com/install/ 1.sudo apt-get update2.sudo apt-get install -y curl openssh-server ca-certificates3.sudo apt-get install -y postfix--> 다른 솔루션을 이용해서 전자 메일을 보낼 경우 이 단계는 건너 띄어도 된다. 4.curl https://packages.gitlab.com/install/repositories/gitlab/gitlab-ee/script.deb.sh | sudo bash--> gitlab이 패키지 저장소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
안녕하세요 사라이 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centos6에서 git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entos6에서 기본적으로 yum install git을 하면 git이 1.7버전으로 다운로드 받게 됩니다.근데 git 1.7버전의 경우 http프로토콜을 사용 못하는 오류가 있어서 1.8버전 이상으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요, 이 포스팅에서는 git 2버전대를 다운로드 받는 방향으로 하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에 앞서서, 깃 설치한 환경 입니다.[saranf@mas html]$ uname -r 2.6.32-754.el6.x86_64 [saranf@mas html]$ grep . /etc/*-release /etc/centos-release:CentOS release 6.10 (Final) /etc/..
안녕하세요 사라이 입니다. centos6 분석하기(1) 에서는 iso파일을 살펴 보았습니다. centos6 분석하기(2) 에서는 기본적인 리눅스 디렉토리 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링을 하면서 작성하였고, 제 개인적인 경험이 묻어있는 설명이 있으니 틀릴수도 있습니다. / (root) 폴더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가장 중요한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가 없으면 리눅스도 없어요ㅎㅎ bin 시스템 관리자 혹은 일반 사용자가 실행할 수 있는 수많은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cat, chmod, date, vi, env,ls, mkdir, rm, touch, ls 등 일반 유저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참조 : 일반 유저 $루트 유져 # boot부트로더와 부팅에 필요한 필수적인 파일을 저장 ..
안녕하세요 사라이 입니다. 오랜만에 다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저는 우분투17.10하고 데비안 9 을 쓰는등, 데비안 계열의 리눅스만 썻습니다. 물론 잠깐 있던 systemadmin 이었을때도 데비안 계열에서 업무를 진행 했엇구요.. centos를 유지보수 일을 잠깐 할때 그 당시 회사 서버가 centos였습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쓸줄만 압니다.. 명령어 치고 그런것만..? 데비안과 다르게 저장소 바꾸는 것도, 그 외에것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기본적인 분석을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리 명시하자면, 아무것도 모르기 때문에 분석 하면서 엄청난 구글링을 할거고 분석의 모든것 밑에는 출처를 달아두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제 머리속의 지식을 정리한 거라서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틀린..
ext4 ( Fourth Extended File System) 안정판은 리눅스 커널 2.6.28에 포함되어 공개되었습니다. (찾아보니 리눅스마스터 1,2급이 이 커널로 시험을 보더라구요..)ext4파일 시스템은 1EB(1엑사바이트 , 1EB = 1024 * 1024TB)이상의 볼륨과 16TB이상의 파일을 지원한다.ext2, ext3와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ext3에서는 서브 디렉터리의 수가 3민2천개로 제한되었으나 ext4에서는 6만4천개로 늘어낫다고 합니다.온라인 조각 모음도 지원합니다.
ext3 ( Third Extend File System)리눅스 2.4.15에 추가했다. ext3 는 ext2를 기반으로 개발하여 호환이 가능합니다.ext2파일 시스템의 파일을 별도의 변경 없이 ext3파일 시스템에 이식할 수 있습니다. ext3는 저널링(jounrnaling) 기능을 도입했습니다.저널링은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하기 전에 먼저 저널에 수정 사항을 기록하는 것 입니다. 즉 로그 기록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될거 같습니다.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갑자기 전원이 나가거나 시스템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이 저널의 기록을 보고 빠르게 복구할 수 있다고 합니다. ext3의 단점은 온라인 조각 모음 기능이 없습니다.ext3에어 파일 시스템의 최대 크기는 블록의 크기에 따라 2~32TB 까지 지..
ext2 (Second Extended File System (Ext2 fs) ext 파일 시스템이 가지고 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것입니다.ext2 파일 시스템은 ext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확장성도 고려하여 개발 되었습니다. 초기 버그가 있어서 불안정 하였으니 현재 매우 안정적인 시스템이 되었습니다.리눅스 커널 2.6.17이전 버전에서는 파일 시스템의 크기가 2TB 로 제한 되었으나 현재는 이론적으로 32TB까지 지원 가능하다고 합니다.ext3 파일 시스템이 개발되기 전까지 사실상 거의 리눅스의 표준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현재도 부팅 가능한 USB 플래시 드리이브와 다른 SSD 장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은 운영체제의 주요한 기능 중 하나로,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과 디렉터리의 집합을 구조적으로 관리하는 체계입니다. 사용자가 외부에서 보기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지만 ,내부적으로 어떤 구조를 구상하여 파일이나 폴더를 관리하냐에 따라 다양한 파일 시스템이 존재 합니다. 리눅스를 비롯한 각 운영체제는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ext ( Extend File System)ext파일 시스템은 레미키드 가 개발한 것으로 1992년 4월 리눅스 0.96c에 포함되어 발표하였다. MFS의 기능을 확장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MFS의 경우 16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의 크기가 최대 64MB였지만 ext에서는 최대 2GB까지로 늘어낫다.파일 이름의 길이도 MFS는 최대 ..